세상 이야기

백악관 초대받은 삼성전자, '20조원' 美투자 속도 내나

수퍼브 2021. 4. 12. 07:19
반응형

https://news.v.daum.net/v/20210412050607419

백악관 초대받은 삼성전자, '20조원' 美투자 속도 내나

삼성전자가 12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 주최로 열리는 반도체 공급망 회의에서 바이든 행정부의 ‘청구서’에 어떻게 화답할지를 놓고 셈법이 복잡하다. 이번 회의를 계기로 190억 달러(약 20조

news.v.daum.net

삼성전자가 12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 주최로 열리는 반도체 공급망 회의에서 바이든 행정부의 ‘청구서’에 어떻게 화답할지를 놓고 셈법이 복잡하다.

 

이번 회의를 계기로 190억 달러(약 20조원)를 투자해 미국에 반도체 공장을 늘리려는 삼성전자의 계획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거의 생산을 안 해 왔던 차량용 반도체를 늘려 달라는 미국의 요청에 어떻게 응할지도 관건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을 비롯해 반도체 사업본부의 고위 임원들은 주말도 반납하고 사무실에 나와 백악관 화상회의를 준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초청받은 19개 글로벌 업체 중에는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참석하는 곳도 있지만 삼성전자에서는 수감 중인 이재용 부회장을 대신해 최시영 파운드리사업부장(사장)이 모습을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

 

미국 현지에 있는 삼성전자 오스틴 공장이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시설인 데다 이번에 증설을 검토 중인 것도 파운드리 라인이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백악관으로부터 차량용 반도체 생산에 대한 요청을 받을지 주목하고 있다.

 

현재 GM이나 포드 같은 업체들이 차량용 반도체가 부족해 생산에 차질이 생겼는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것이 미국 내 일자리 문제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 보고 있다.

 

삼성전자는 수익성이 낮은 편인 차량용 반도체를 미국에서 거의 생산하지 않고 있지만 만약 바이든 행정부가 강력하게 요구하면 이를 거절하는 것도 부담스러울 것이란 분석이다.

또 20조원가량을 들여 미국 내 건설하려는 새 파운드리 공장의 부지 선정도 속도를 낼 가능성이 높다.

새 공장 부지로 텍사스주나 뉴욕주, 애리조나주 등을 검토 중인 삼성전자는 신규 건설과 관련해 미국 정부로부터 최대한 인센티브를 따내려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미중 반도체 패권 경쟁 속에서 삼성전자의 전략도 주목된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시안 2공장이 올해 본격 가동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괜히 두 나라 갈등 한가운데에 놓이지 않도록 신중을 기해 미국의 청구서에 응답할 듯하다”고 말했다.

 

 


오늘 12일 미국 백악관에서 백악관 주최로 반도체 공급망 회의가 열린다고 합니다.

백악관 주최로 백악관에서 반도체 공급망 회의가 열리는 것은 처음 있는 일입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반도체 공급 부족 이슈가 있어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낮은 자동차 반도체는 생산이 밀려 공급이 많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그래서 현재 GM이나 포드 같은 미국 자동체 업체들이 차량용 반도체가 부족해 생산에 차질이 생겼는데 이게 미국 내 일자리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 바이든 정부가 생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주최하는 회의 입니다.

 

해결방법은 간단합니다.

 

백악관에서 반도체 회사를 불러서 미국 업체들의 차량용 반도체 수급 문제가 있으니 부족한 만큼 추가로 생산을 진행해서 미국 자동차 업체들에게 공급해달라 이러면 끝나는 상황입니다. 

 

그런데 반도체 회사 입장에서는 지금 수익성 낮은 자동차 제품을 생산할 게 아니라 고수익인 TV, 핸드폰 등 IT 반도체에도 공급이 수요를 못따라가고 있는데 최대한 자동차 반도체 생산을 줄이고 고수익 반도체 생산을 하는게 기업 윤리에 맞는거죠.

 

그런데 요청 상대가 미국입니다.

가장 중요한 부분이죠.

 

세계 두번째로 큰 경제 대국인 중국도 미국 제재를 받으면 휘청 거리는 판에 미국 요청을 거절하면 좋을게 없겠죠??

 

그리고 삼성도 현재 미국 현지에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시설이 있는 오스틴 공장이 있는 상태고 이번에 190억 달러(약20 조원)를 투자에 미국에 파운드리 라인 시설을 투자 할 계획에 있습니다.

 

그럼 이제 대충 결말이 어떻게 될 것이라고 드라마 스토리가 보이시나요? ^^

 

제 생각에는 서로 윈윈으로 가는거죠~

미국은 부족한 차량용 반도체 공급을 삼성한테 받는걸로 약속 받고 삼성은 미국 내 추가 시설 투자에 대해서 세금 부분이나 지원 등에 관해서 혜택을 받는 약속을 받고 진행해주겠죠.

 

이러면 서로 윈윈 아닌가요? ^^

 

오늘 회의 결과가 어떻게 될 지 같이 지켜보시면 될듯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