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이야기

공기청정기 위치, 공기청정기 어디에 둬야 할까? (공기 청정기에서 멀리 떨어지세요)

수퍼브 2021. 5. 5. 23:12
반응형

안녕하세요.

 

수퍼브 JH 입니다.

 

오늘 하루 마무리 잘 하셨는가요?

 

저는 오늘 아이들과 모처럼 미세먼지 없는 맑은 하늘을 보며 근처 공원에 가서 편하게 쉬다가 돌아왔습니다.

어느덧 저녁이 되니 내일 출근 할 생각에 마음이.... ㅎㅎ

 

인터넷을 보다가 꼭 알아둬야 하는 기사가 있어 알려드릴려고 해요.

 

https://news.v.daum.net/v/20210505203908579

 

공기청정기 가까우면 깨끗한 공기? 먼지만 더 먹는다

<앵커> 미세먼지 걱정 때문에 요즘 집이나 학교, 또 회사에서 공기청정기를 많이 씁니다. 그런데 이걸 잘못 사용하면 오히려 몸에 좋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한지연 기자 리포트 먼저 보시고 이

news.v.daum.net

이게 무슨 말일까요?

 

그냥 생각하기에는 공기청정기는 더러운 공기나 먼지를 빨아들여 깨끗한 공기를 내뿜어 주기때문에 깨끗한 공기를 마실려면 공기청정기 근처가 가장 깨끗한 공기가 나온다고 일반적으로 생각 하자나요.

 

저도 그렇게 생각해서 잠 잘때 공기청정기를 최대한 침대 근처에 두고 있는데 그렇게 하면 먼지를 더 가까이 먹게 된다고 합니다. ㅜㅜ

 

어떻게 이럴수가....

 

이때까지 한 행동이 먼지를 더 많이 먹고 있었던 행동이었네요.

 

반응형

이때까지 먼 짓을 한건가??? 좌절입니다. 또르르..

 

SBS뉴스 내용을 보면 테스트를 위해 고등어를 굽고 거실에 있는 공기청정기를 가동하기 전 공기청정기 근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니 PM2.5 기준 31 ug입니다.

 

이제 공기청정기를 가동하고 공기청정기 근처 동일한 위치에서 미세먼지를 측정하니 PM2.5 기준 30.2 ug로 무려 10배나 치솟습니다.

 

 

이게 먼가요?

공기청정기 가동하고 공기청정기 근처에 가면 오히려 좋지가 않네요.

정말 놀랬습니다.

 

 

으하핱 깜놀

 

공기청정기를 가동하고 나서 공기청정기 근처가 더 먼지나 유해물질이 많은 이유는 공기정청기의 구조 때문이라고합니다.

보통 공기청정기의 먼지 흡입구가 앞쪽에 있어 공기중의 먼지나 유해물질을 우선 공기청정기의 앞쪽이나 하단으로 빨아들이고 공기를 정화해서 공기청정기 위로 맑은 공기를 내보내게 됩니다.

 

이때 먼지나 유해물질을 공기청정기의 앞쪽의 흡입구쪽으로 강하게 공기를 당기니 흡입구 근처가 가장 미세먼지가 많이 모이게 된다고 합니다.

 

 

이런 중요한 사실은 제품사용서에 명기되어 있어야 되는것 아닌가요?

 

'공기청정기 가동 시 공기 청정기에서 멀리 떨어지십시오.'

 

이 한 문장이 그렇게 제품설명서에 표기 해두는게 힘든일인가요?

 

 

집에 있는 공기청정기 위치를 당장 잘 지나다니지 않는 구석쪽으로 이동 시키고 아이들에게도 공기청정기가 가동 중일때는 근처에 가지말라고 해야겠어요.

 

여러분들도 공기청정기 사용 시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이상 수퍼브 JH 이었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되셨으면 공감 또는 구독 부탁 드려요. 꾸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