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이야기

한류 성공 점쳤던 미 교수 "K드라마 인기 예견된 일"

수퍼브 2021. 11. 5. 13:26
반응형

안녕하세요.

수퍼브 JH 입니다.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뿌듯해지는 기사가 있어 소개합니다.

한류 성공 점쳤던 미 교수 "K드라마 인기 예견된 일"
 

한류 성공 점쳤던 미 교수 "K드라마 인기 예견된 일"

[앵커] [2018년 9월 : 이들(BTS)이 누군지 모른다면, 여러분은 앞으로 세계에서 경쟁을 할 수 없을 겁니다.] [2019년 11월 : (내게 자녀가 있다면) 로마나 파리, 런던이 아닌 서울로 보낼 겁니다. 미래 세

news.v.daum.net

[앵커]

[2018년 9월 : 이들(BTS)이 누군지 모른다면, 여러분은 앞으로 세계에서 경쟁을 할 수 없을 겁니다.]

[2019년 11월 : (내게 자녀가 있다면) 로마나 파리, 런던이 아닌 서울로 보낼 겁니다. 미래 세계의 일부가 되고 싶다면 동쪽으로 가세요.]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의 한 교수입니다. 몇 년 전부터 한류를 주목하라고 강조하는 영상이 화제가 됐는데요. 한국 드라마가 인기를 끌게 된 것도 예견된 거였다고 이야기했습니다.

김필규 특파원이 만나봤습니다.

 

미국 대학 교수가 몇 년 전부터 한류를 주목해라고 하고 자녀가 있다면 파리, 런던이 아닌 서울로 보낼 거라고 이야기를 했네요.

정말 요즘 한류의 위상을 보면 믿어지지가 않을 만큼 대단한 것 같습니다.

BTS 이전의 대한민국은 전 세계 사람들이 대한민국이 어디에 있는지 몰랐고 관심도 전혀 없었습니다.

일부 관심이 있었던 사람들도 북한과 남한을 구별을 못했었습니다.

 

그랬던 대한민국이 이제는 전 세계인들이 사랑하는 문화 콘텐츠를 가진 나라가 되어 가고 있습니다.

저는 정말 상상도 못 했던 일이 벌어지고 있네요.

문화 콘텐츠하면 대한민국은 너무나 열악하고 힘이 약했던 나라였습니다. 

문화 컨텐츠 강국인 일본이 부러웠고 대한민국이 일본처럼 된다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었어요.

그런데 지금 현실이 되어 가는 것 같아 무척 자랑스럽습니다.

 

[기자]

리처드 교수는 대학에서 30년째 인종과 민족, 문화에 대한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900명 가까운 학생들이 듣는 그의 수업에서 최근 몇 년 동안 한류는 단골 토론 소재가 됐습니다.

학생들의 인식도 빠르게 변했습니다.

[샘 리처드/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교수 : (4년 전엔) BTS를 안다고 손 든 학생이 5명 정도에 불과했어요. 이제는 모른다는 학생이 대여섯 명 정도입니다.]

그는 스트리밍 서비스로 K팝이 뜬 것처럼 넷플릭스를 통해 오징어 게임 같은 한국적이면서도 세계적인 히트작이 나온 건, 예견된 바라고 했습니다.

한류 팬인 수강생들도 K드라마의 인기 비결로 독창성을 꼽습니다.

[메이슨 폴/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학생 : 미국 드라마에선 다음에 뭐가 일어날지 예상하며 보는데, K드라마는 아무것도 예상할 수 없어요. 항상 놀라게 해요.]

리처드 교수는 한국이 소프트파워 강국이 된 게 세계적으로도 전례 없는 일이라고 평가했습니다.

 

한류 팬인 미국 대학 수강생들이 K드라마의 인기 비결로 독창성을 꼽았는데 저도 동의합니다.

이전의 K드라마는 항상 같은 주제의 뻔한 진부한 소재로 만든 드라마가 주를 이루었습니다.

재벌, 불륜, 숨겨진 가족사 등 항상 이런 식의 드라마만 만들어졌었어요.

그래서 저도 드라마를 좋아하는데 한국 드라마는 식상하기에 미국 드라마를 찾아보았습니다.

 

이런 식의 진부한 한국 드라마로 인해 한국에서는 예전에 미드가 대유행했었죠.

그런데 이제는 한국 드라마가 정말 다양한 주제와 신선한 아이템으로 제작되어지고 있습니다.

한국 드라마가 몇 년 사이 큰 혁신이 일어난 것 같아요.

제 생각으로는 이런 혁신이 일어날 수 있던 배경에는 종편 등 다양한 방송사들이 생겨나고 넷플릭스 등 드라마를 제작하는 곳이 많아져서라고 봅니다.

 

이전에 드라마는 KBS, MBC, SBS에서만 지상 3사에서만 만들어 었는데 그때는 이런 혁신이 없었어요.

드라마를 제작하는 새로운 방송국들이 여러 개 생겨나면서 다양한 주제의 드라마들이 탄생하고 혁신이 되는 뿌리가 되었다고 생각됩니다.

 

더욱더 K드라마의 위상이 높아져 드라마 하면 대한민국이라는 인식이 전 세계로 퍼져나가길 바라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