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이야기

22년 2월 25일 반전의 뉴욕증시..나스닥 +3%

수퍼브 2022. 2. 25. 09:04
반응형

안녕하세요.

수퍼브 인베스터 JH입니다.

 

나스닥이 장 초반 3% 넘게 하락을 하다가 막판 매수 유입으로 3.34% 상승으로 마감하였습니다.

 

한국경제 TV 기사자료

한국경제 TV 기사 입니다.

 

 

반전의 뉴욕증시..나스닥 +3%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한국경제TV 이연정 기자] [글로벌시장 지표 / 2월 25일 오전 6시 현재] [미국증시 마감시황] 뉴욕증시가 24일(현지시간) 상승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92.07포인트(0.28%) 오

news.v.daum.net


뉴욕증시가 24일(현지시간) 상승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92.07포인트(0.28%) 오른 3만3223.83으로 마감했다. S&P500지수는 63.19포인트(1.50%) 오른 4288.69로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지수는 436.10포인트(3.34%) 오른 1만3473.59로 장을 마쳤다.

이날 시장은 막판 상승에 성공했다. 장중 저가 매수가 유입되며 급격하게 반등했으며 연방준비제도(Fed)의 가파른 긴축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시각도 투자 심리를 끌어올렸다.

특히 개장 초반 나스닥은 3%가 넘는 하락을 보였지만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에 대한 강력한 경고와 제재 방안을 발표한 것도 급등의 요인이 됐다. 미 정부는 이날 러시아를 상대로 일부 품목 수출을 통제하고 주요 은행 4곳을 제재 대상에 추가하기로 했다.

한편 지정학적 위기가 최고조에 달하면서 연준의 공격적 긴축 가능성은 낮아졌다. 미 금리선물 시장에서는 연준이 3월에 금리를 50bp 인상할 가능성을 10%대로 낮췄다. 1주일 전에 30%를 웃돌던 데서 크게 낮아진 것이다.

이와 관련해 토머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는 이날 “이번 사태가 연준의 정책 정상화의 근거를 바꾸는지 살펴야 할 것”이라면서도 “시간이 말해 줄 것”이라고 말했다.

 

정리를 해보자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해서 전쟁중인데 뉴욕증시가 장 초반 하락하다가 결국에는 나스닥인 경우 3.34%나 폭등하였습니다.

전쟁중이기 때문에 상승이 아니라 더 하락해야 되는게 정상이 아닌가? 라고 이해가 잘 안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여러가지 원인이 있는데 가장 큰 요인은 불확실성이 해소된 부분입니다.

주식시장이 가장 싫어하는 것이 불확실성입니다.

 

악재가 발생해서 어떻게 될지 불확실성이 있다면 주식은 하락합니다.

하지만 그 악재가 명확히 발생해서 불확실성이 해소 된다면 주식시장은 미래를 반영하기 때문에 그 문제는 해소 된 것으로 생각하고 그 악재가 미치는 영향은 작아집니다.

이번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을 이야기해보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 할 것이다 아니다 라고 불확실성이 컸었죠. 그런데 막상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을 해버리니 악재이긴 하지만 불확실성이 해소 되어 버린 것이죠.

 

그리고 다른 요소로는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에 대해 강력한 경고와 제재 방안을 발표한 것과 이런 지정학적 위기로 연준에서 공격적으로 금리인상 할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점에서 강한 매수세가 들어와 반등 하였습니다.

 

이상 수퍼브 인베스터 JH이었습니다.

반응형